Skip to content
김호준2010.04.07 13:55

혹응애의 피해로 진단됩니다.

기주식물에 따라 혹응애의 종류는 다르지만, 혹응애는 붉나무, 구기자나무, 밤나무 등의 잎 뒷면에 기생하여 흡즙함으로써 조직세포의 이상분열이 일어나서 혹이 만들어집니다.

방제는 응애약 살포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 겨울철 : 기계유유제를 새싹이 돋기 전에 잎 뒷면까지 묻도록 1회 살포(약해 주의)

• 봄, 여름 가을 :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응애약을 잎 뒷면까지 묻도록 월 2회 정도 살포(약해 주의)

• 응애약은 기준농도로 살포해도 식물의 건강상태, 기상, 살포방법, 살포량, 살포시기에 따라 약해유발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한 표준농도보다 약하게 살포하도록 하고, 대신 한번  더 살포하는 것이 기주식물에게 스트레스를 적게 줍니다.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를 클릭하세요

파일 첨부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C) 그린과학기술원. 조경 디자인 / 수목관리 기술 컨설팅.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편로 135 동편마을 406동 801호. 전화: 070-8755-3266 휴대전화: 010-8733-7516 팩스: 031-341-7517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