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임상진단

by 김호준 posted Aug 23,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목 임상진단서


진단기관

그린과학기술원

진 단 자

원장 김호준 박사

의뢰기관

T.Y 컨트리클럽

의 뢰 자

수목관리 담당자

진 단 일

2010. 8. 20.

식 재 지

F/W

수 종 명

소나무

진단부위

1~2생 잔가지 및 솔잎

증  상

 

원  인

(진단결과)

 • 증상

 - 솔잎 엽초부위 기부가 희게 노출되면서 꾸불꾸불하게 굽고 아래로 처짐

 - 1~2년생 가지와 잎에 이미 부화한 좁쌀모양의 미소 원형 난각과 방제된 응애 탈피각이 무수히 산재함

 - 소수 생존개체가 있으나 현재로서는 방제대상이 되지 못함

 - 솔잎 전체에 붉은 반점이 산재하고 일부 솔잎 끝의 1/5 정도가 붉게 타서 말라죽었음

• 원인

 - 장마이후 급격한 고온에 의한 솔잎 처짐 현상. 영양상태가 좋은 솔잎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임

 - 기부의 굽음 현상은 약간의 제초제 피해가 가미된 증상임

 - 잎에 산재하는 붉은 반점은 응애의 식흔임

 - 잎 끝 엽소현상은 응애가 솔잎조직을 갉아 수액을 흡즙함으로써 조직이 파괴되어 양분과 수분이 잎 끝에까지 수송되지 못하고 차단되어 잎이 붉게 탐

 - 여기에 살충제 살포로 인하여 잎 끝 고사증세가 다소 가중됨

향후 관리방안

 • 엽면시비, 수간주사, 뿌리권 작업, 가지치기 등 일체의 관리작업 금지

기 실행한 대책(뿌리권 심식부위 제거, 철사 및 고무 바 제거, 유공관 매립 등)으로 관리방안 대체

뿌리권 과습여부 수시점검(식재구덩이가 일시적 물웅덩이가 되는 현상)

 • 뿌리권에 2~3개의 유공관을 묻어 관수 및 통기증진을 기할 것

향후 수세회복이 되지 않을 경우 현장점검이 필요할 것임

기타

 • 본 증상에 대한 진단은 채취한 가지 샘플에 한하며, 나무 전체의 생 육상태에 대한 진단은 아님

그러므로 뿌리권의 상태, 줄기의 상태, 식재되어 있는 주변상황 등을 참고한 종합적인 진단은 아님

그 린 과 학 기 술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