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56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나무 황화원인 진단 및 향후 관리방안

 

 

 

▣ 골프장 : 경기지역 I 골프장

▣ 진단일 : 2012. 4.

▣ 진단자 : 그린과학기술원 원장 김 호 준

 

 

 

1. 진단 목적 및 대상

 

 

(1) 진단 목적

■ 조경용으로 식재된 소나무의 잎이 붉게 말라 고사하고 있어 그 원인을 규명하고

■ 나무의 고사유무, 장래 고사우려 여부 등을 진단함과 동시 수세회복을 위한 향후 관리방안 수립에 그 목적이 있음.

 

(2) 진단 대상

■ 클럽하우스 및 주차장 주변, 홀 일부지역의 조경용 소나무

 

(3) 진단 방법

■ 육안진단, Sample 채취 후 실체 현미경 진단

 

 

 

2. 진단결과

 

 

(1) 수관부 진단

■ 수관부 황화유형

- 전체 수관부 황화, 수관 정상부 황화, 수관 1/2부위 황화, 가지 일부 황화

■ 개체 엽 황화유형

- 2개씩 속생하는 잎 전체 고사, 잎의 1/2 선단부 고사, 잎 탈색

- 녹색을 유지한 생존엽 또한 탈색되어 색깔이 선명하지 못하고 회녹색을 띄고 있음.

- 황화한 잎은 바늘자국 형태의 붉은 반점이 상처로 남아있고 일부는 띠를 형성하듯 산재함.

- 고사한 지 오래된 잎에서는 때때로 잎떨림병, 잎마름병 병징이 나타남.

 

■ 황화유형 1 : 수관부 전체 황화(좌) 및 정상부 황화(우)

수관부 황화유형 1

 

■ 황화유형 2 : 수관부 1/2 황화

수관부 황화유형 2

 

(2) 가지 진단

■ 1년생 가지

- 응애류의 흰색 알 껍질이 상당량 붙어있음. 그러나 성충과 약충은 발견되지 않았음.

- 일부 잔가지는 말라죽었으나 대부분의 가지는 살아있어 5월 초ㆍ 중순경 새순과 새잎 발생에는 큰 무리 없을 것으로 조사되었음.

■ 겨울눈

- 5월경 새순과 잎이 나올 대부분의 겨울눈은 살아있는 상태임.

- 일부 극히 쇠약한 나무 및 가지의 경우 겨울눈 발생이 약함.

- 그러나 새순발달, 잎 발생은 무난할 것으로 조사됨.

 

(3) 황화 심각도

■ 나무전체 황화정도

- 상( ), 중( ○ ), 하( )

■ 겨울눈 황화정도

- 상( ), 중( ), 하( ○ )

 

■ 1년생 가지 솔잎 황화유형

가지와 2년생 엽 황화

 

 

(4) 줄기진단

■ 소나무좀 발생 여부

- 현재로서는 소나무에 치명적인 소나무좀 발생은 없는 것으로 조사됨.

■ 기타 병해충 발생여부

- 기타 나무를 쇠약하게 할 별다른 소견은 없음.

 

■ 건전엽 가지와 피해엽 가지의 겨울눈 상태

정상엽 가지의 겨울눈

피해엽 가지의 겨울눈

 

 

 

 

3. 황화유발 원인 진단

 

 

(1) 제 1 원인 : 응애 발생피해

■ 수액 약탈

- 잎과 어린가지, 겨울눈에서 구침(바늘 입)을 찔러 수액을 빨아먹음으로써 잎이 탈색되고

- 피해가 진전됨에 따라 양분과 수분공급이 어려운 잎의 끝부터 붉게 마르고 나아가 잎 전체가 말라 나무가 쇠약하게 됨.

■ 응애류 잔존

- 현재 침엽기부 엽초, 어린가지(전년도 1년생 가지), 겨울눈 기부에 상당량의 응애 알이 산재해 있음.

- 그러나 성충 또는 약충이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지난해 11월과 금년 3월에 응애약을 시약한 결과로 보임.

- 즉, 성충과 약충은 방제된 상태임. 그러나 알의 일부가 남아있어 재 발생우려는 잔존함.

■ 녹색엽 탈색 원인

- 잎이 선명한 녹색을 유지하지 못하고 탈색함으로써 연한 녹색으로 나타남.

- 실체현미경으로 검경한 결과, 이는 전년도 가을 피해증상으로서 응애류 약충(若蟲)이 잎에 구침을 찔러 수액을 빨아먹음으로써 생긴 자국임.

- 이 상처 자국은 나무 생육 활력기에 자력으로 치료됨으로써 탈색형태로 남게 됨.

■ 잎의 1/2 선단부 황화고사 원인

- 수액을 약탈당한 솔잎은 양분공급이 늦은 잎 끝부터 서서히 붉게 말라 솔잎 기부로 진행되고 있는 과정임.

■ 잎의 붉은 반점

- 몸체가 큰 응애류의 성숙 약충 및 성충이 수액을 흡즙할 때 생긴 상처임. 이 상처는 생육 휴지기인 겨울~이듬해 봄에 걸친 피해증상으로서 자력으로 치료되지 못함으로써 나타난 흔적임.

- 일부는 잎떨림병 병징, 잎마름병 병징으로 나타난 자낭반임.

 

■ 응애류 흡즙 구침자국 반점과 잎떨림병 발병 흔

잎에 형성된 응애류 흡즙 구침자국과 잎떨림병 자낭반(반점)

 

 

(2) 제 2 원인 : 잎떨림병 발생피해

■ 반점 형성

- 잎의 1/2 선단부가 황화하여 말라죽고 일부 고사엽에서는 병징을 나타내는 자낭반이 형성되었음.

- 이는 솔잎 황화현상을 가중시킨 요인의 하나로 작용하였음.

 

(3) 제 3 원인 : 솔잎혹파리 발생피해

■ 회갈색 고사엽

- 솔잎 기부에서 수액을 흡즙하여 잎의 생장을 저해하고 피해엽은 3월경 회갈색으로 말라 고사함.

- 이러한 피해로 고사한 잎이 회백색으로 말라 가지에 붙어있어 황화현상이 가시적으로 가중되었음.

 

(4) 제 4 원인 : 응애 방제약 농도장해 발생

■ 쇠약수 농도장해 발생

- 응애류 방제약의 상당수가 표준농도로 희석 살포하더라도 약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특히 전정, 병해충, 각종 환경장해가 많아 쇠약하기 쉬운 조경수는 규정농도의 약액을 살포하더라도 약해가 발생하기 쉬움.

- 또한 약효지속 및 효과상승을 위한 전착제, 계면활성제 등을 혼합 살포할 경우 약해우려는 더욱 높아짐.

 

 

 

 

4. 향후 관리방안

 

 

(1) 시비

■ 뿌리권 시비

- 근원경의 4배 거리에서 구멍간 거리는 60cm, 구멍깊이 20~30cm에 산림용 고형복비 3알씩 투입

- 뿌리권 전면시비 또는 6~8방위에 구멍을 만들고 시비

- 이미 1차 시비한 상태이므로 6월 중ㆍ하순경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시비하면 수세회복이 빠르고 오래 지속될 것임.

 

■ 시비방법

근원직경

시비량(그루)

시비위치

10cm 내외

30알

근원경 60~70cm 격리

10~20cm 내외

40~45알

근원경 4배 거리 격리

(최대 격리거리 2m)

20cm 이상

50~55알

 

■ 시비방법

시비구멍 위치

 

 

(2) 시약

■ 응애 방제약 희석배율 조정 및 시약 횟수 증가

- 표준농도보다 200~300배 약하게 희석 살포하여 약해발생 차단

- 방제는 1회에 박멸할 것을 목표로 시약할 것이 아니라 작업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10~15일 간격으로 2~3회 분할 살포함이 효과적임.

■ 고온기와 저온기 방제약 살포금지

- 고온기(여름철)와 저온기(겨울철)의 시약은 농도장해(약해) 유발 우려가 높으므로 가급적 피할 것.

- 부득이한 경우 겨울철에는 온도가 높은 낮, 여름에는 온도가 낮은 오전 7~8시경에 시약할 것.

■ 약효 상승용 보조제 사용 금지

- 전착제 등 약효증진을 위한 보조제는 약해우려를 높이므로 사용금지

 

(3) 가지치기 등 관리작업

■ 격년제 또는 2~3년/1회 실시 권장

- 매년 가지치기 할 경우 나무에 상당한 쇠약 스트레스를 야기하며

- 인접 자연림에서 번무하고 있는 솔잎혹파리가 이입(전염)될 경우 심각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음.

- 이 현상은 코스 내 소나무에 솔잎혹파리 피해가 이미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도 충분히 우려되고 있음.

 

(4) 잎떨림병, 잎마름병 방제

■ 4~5월까지 방제시약

- 만코제브 33g/ 물20ℓ(약 600배) 주1회 3~4회 살포

 

(5) 응애 방제

■ 방제시약 연기, 추후 예찰 후 시약

- 현재 산란된 응애 알이 잔존하고 있어 향후 발생우려는 있으나

- 나무가 쇠약한 상태이고 새순과 새잎이 나오는 시기이므로 응애약 살포는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후 주1회 정도 어린가지를 털어 발생여부를 진단, 예찰한 다음 시약해도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됨.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 단풍나무 김호준 2015.10.07 669
52 소나무 새순이 이상합니다. 김호준 2015.09.16 644
51 태풍과 나무 file 김호준 2015.07.13 596
50 조경수 식재 . 양생관리 기술 file 김호준 2015.02.06 1161
49 조경수 폭설 피해 대책 - 눈 피해 file 김호준 2015.02.03 812
48 리기다소나무가 이상합니다 김호준 2014.12.03 979
47 골프장 조경수 관리, 자두나무. 향나무 file 김호준 2014.09.03 1272
46 조경수 비료주기 file 김호준 2014.08.02 2038
45 자문사례 - 소나무. 영산홍. 팽나무. 죽도화 관리 file 김호준 2014.02.12 5373
44 제초제 피해 관리 360 file 김호준 2013.10.20 10191
43 느티나무 관리 file 김호준 2013.09.02 10227
42 철쭉밭 잡초 관리, 멀칭, 억새밭 잡초 돌콩 관리 352 file 김호준 2013.08.23 36022
41 이식 소나무 고사원인 진단 361 file 김호준 2013.06.22 10919
40 병원 치료숲 건강검진 file 김호준 2013.05.10 3508
39 수목관리 - 식재. 양생관리기술 - 한국잔디연구소 단기과정 교육 김호준 2012.12.15 14589
38 태풍과 수목관리 374 김호준 2012.09.16 12386
37 은행나무, 소나무, 참나무, 광릉긴나무좀, 참나무시들음병 360 김호준 2012.07.30 14381
» 봄철 소나무 황화원인 및 관리대책 김호준 2012.04.22 15672
35 2012 우리나라 골프장 현황 1 김호준 2012.03.04 7922
34 수목관리, 단기과정교육, 식재, 시비, 전정, 환경 스트레스, 양생관리 332 김호준 2012.01.02 1284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 4 Next
/ 4

(C) 그린과학기술원. 조경 디자인 / 수목관리 기술 컨설팅.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편로 135 동편마을 406동 801호. 전화: 070-8755-3266 휴대전화: 010-8733-7516 팩스: 031-341-7517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